Intro
이번엔 도커를 설치해 보겠다.
사전에 ubuntu, WSL2 환경은 세팅해 놓아야 한다.
1. Docker 설치
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 기술이므로 Mac이나 Win에 설치할 경우 가상머신에 설치된다.
1) Linux
자동 설치 스크립트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sudo 없이 사용하기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sudo usermod -aG docker your-user # your-user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2) Window 10
🚍 도커 설치 전 환경 설정
- BIOS 에서 가상화 사용 설정(아래 이미지 처럼 가상화: 사용 표시가 떠야 함 !)
-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인 Hyper-V를 활성화
- 작업표시줄에 [Windows 기능 켜기/끄기] 검색 - Hyper-V 체크 - 재부팅
🚍 도커 설치 파일 다운로드
-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windows-install/
- Docker Desktop for Windows
- 설치 파일 실행
- 설치가 완료되면 [Close and restart] 버튼을 누르고 재부팅 (누르자마자 재부팅 된다.)
- 재부팅 후 우측 하단에 도커 아이콘이 나타나 있다.
성공적으로 도커를 설치하였다. 🐳
2. 기본 설정
1) 좌측 메뉴
- Containers: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
- Images: 다운로드 받은 도커 이미지 목록 확인
2) Enging running
- 초록색 바탕으로 running 이라고 적혀 있으면 정상적으로 실행 중
- 이 외의 경우에는 중지 상태
3) [설정] - [General] - [Use the WSL 2 based engine] 체크 확인
- 도커 엔진이 WSL2 위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
- 체크 해제할 경우 도커 엔진은 Hyper-V에서 동작
▶ Hyper-V
Windows 가상화 플랫폼. 가상 머신을 만들고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원래 Docker Desktop은 Window 10 pro 이상의 버전에서만 사용이 가능한데, 이는 Hyper-V가 pro 이상의 버전에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WSL2
이후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WSL2가 추가되면서 Window 10 홈 에디션에서도 Docker Desktop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Window 10 홈 에디션을 사용하는 경우 Docker Engine이 WSL2 위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Docker Engine 종료
- [Task Tray] - [Quit Docker Desktop]
'log.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이미지, 컨테이너 요약 (0) | 2024.06.13 |
---|---|
[Docker] 이미지 만들기 (0) | 2024.05.29 |
[Docker] 컨테이너 업데이트, Docker Compose (0) | 2024.05.28 |
[Docker] 컨테이너 실행 및 도커 기본 명령어 (0) | 2024.05.28 |
[Docker] Docker란? (0) | 2024.05.28 |